승화
승화는 충동을 만족시키되 그 목적이나 대상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것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근본적 충동과 억제하는 힘의 갈등 사이에서 더욱더 창조적이고 건강하며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해결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모든 근본적 충동을 제거하고 승화시켜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의 근본적 충동은 분명히 우리를 생생하게 살아있게 하는 삶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정서의 고립
어떤 경험이 발생하고 인식할 때 정서적 측면을 고립시켜 제외하는 것을 말한다. 마음의 고통스러운 상태를 처리하기 위해 감정이 인식되지 않도록 해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정신적 무감각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경험 전체가 의식으로부터 제거되진 않지만 그 정서적 의미는 끊어진 것이다. 한 개인의 기본적 방어양상이 고립의 기제이고 생활의 패턴이 사고 중심적이며 감정을 낮게 평가한다면 성격의 구조는 강박적 양상이 된다.
역전
역전이란 자신의 입장을 주체의 입장에서 대상의 위치로 바꾸어 놓거나 대상의 위치에서 주체의 위치로 바꾸어 놓는 방법을 통해 특정한 심적 부담이나 위협을 해소하는 방어를 뜻한다. 예로는 타인에게 의존하고 싶은 욕구가 있지만 위험하게 여겨질 때 타인이 자신에게 의존할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자신이 의존해야 하는 위험성을 피하는 경우다. 아이들이 인형이나 피겨로 놀이할 때 흔히 하게 되는 양상으로 아이 자신과 인형의 입장을 역전시켜 놀이하는 것을 말한다.
지적 논리화
지적 논리화는 경험에서 오는 불안이나 긴장을 피하기 위해 직접 경험하여 감정을 겪는 대신에 사고와 지적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정서적으로 강한 영향을 주는 상황에서 이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는 것은 자아의 성숙과 강해짐을 필요로 하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이런 방어가 지나치면 정서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지적 기능만 사용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정신이 경직되고 기계적인 건조함을 가지게 되며 타인에게도 진실하거나 솔직하지 못한 인상을 주게 된다. 이 기제의 패턴화는 강박적인 성향으로 이어진다.
반동형성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인 정서로 변환하거나 긍정적인 정서를 부정적인 것으로 변화시켜 원래의 정서에 수반 되었던 위협적 긴장을 해소하려고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경쟁자에 대해 시기심과 미움이 극도에 달할 때 그 감정을 인식하는 것이 괴로움과 긴장을 수반하므로 무의식적으로 그 상대에게 더 잘해주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반대로 여러 면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상대에게 끌리기 시작한다면 애정을 감지하는 것도 큰 무의식적 갈등을 수반하므로 그 상대에게 미움이나 분노 등을 자주 표현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적대적 감정과 공격적 충동이 너무 커서 통제가 불가능함을 경험하게 될 때 반동형성 기제가 많이 사용된다.
도덕적 논리화
어떤 경험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도덕적 의무와 정당성을 내세우고 그 경험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분열의 보다 성숙한 유형이라고 보기도 한다. 성숙한 방어기제에 포함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도덕적 논리화가 피학적 성격 구조를 갖는 사람들의 주된 방어양상이라는 것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 치료적 노력에도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매우 완고한 기제이다.
전치
특정한 정서나 욕구 행동 등의 목표가 본래의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옮겨지는 것이다. 본래의 대상을 향해서 그런 욕구나 정서를 가지고 행동을 취하기에는 불안이 따라오기 때문에 다른 대상으로 옮겨 가게 된다. 일반적인 수준에서는 직장 상사에게 싫은 소리를 듣고 집으로 돌아와 그 화를 정작 가족들에게 푸는 경우가 예이다. 보다 병리적 수준의 예로는 페티시즘, 특정 대상에 대한 공포증 등이 있다. 분석상황에서 발생하는 전이도 전치의 한 형태다. 본래 부모나 중요한 대상을 향하던 감정이나 태도 등이 옮겨 와서 분석가를 향하기 때문이다.
구획화
의식에서 혼란이나 죄책감, 수치심 등을 느끼지 않고도 상반되거나 갈등을 유발하는 내용들이 정신에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공존할 수 없는 태도, 행동들, 생각들이 한 개인의 의식 속에서 모순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같이 존재하는 것이다. 병적인 구획화의 한가지 예로서 매우 인도주의적이고 도덕적인 태도와 높은 사회적 위치를 갖는 사람이 사적인 상황에서는 갈등 없이 학대나 성폭력을 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자신에게로 돌리기
외부 대상을 향하던 태도나 부정적 감정의 방향을 틀어 자신에게 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들은 부모의 부정적이거나 폭력적인 태도를 겪게 되면 그와 연관된 이유를 자신에게로 돌려 자신이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부모가 그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모든 것을 의존하고 있는 대상이 나쁜 것보다는 자신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정을 주며 적어도 자신의 문제로 돌리는 한 자신만 바꾸면 문제가 해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수준의 성인들도 어떤 문제를 만날 때 타인의 잘못이 아니라 자기 잘못에서 온다고 받아들임으로써 더 불편한 경험을 피하려고 하는 경유가 다수 있다. 이러한 기제를 자동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우울적 성격과 피학적 성격에서 보인다.
취소
마술적 생각과 전능적 통제가 관련된다. 어떤 태도나 행동을 통해 특정한 정서적 경험을 없애버리려는 시도와 무의식적인 노력을 말한다. 보통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없애려는 의도를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강박적으로 손을 씻으면서 무의식적으로는 죄책감을 지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소의 기제가 패턴화되면 충동적 성향을 형성케 된다. 강박 충동적이라고 할 때 강박적이라는 것은 생각의 양상을 충동적이라는 것의 행동 양상을 뜻한다.
'건강한정신으로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 (2) | 2022.10.05 |
---|---|
정신분석의 치료적 원리1 (0) | 2022.10.05 |
일차적 방어기제 (0) | 2022.10.04 |
분석 상황_2 (저항,퇴행,역전이) (0) | 2022.09.30 |
분석 상황_1 (꿈, 트라우마, 전이) (0) | 2022.09.30 |
댓글